청소년 게임중독 진단하기
게임에 중독되면 가족들과 대화를 하지 않고 성적이 떨어지는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들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사회에서 격리될 수밖에 없는 심각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스스로를 돌아보고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바로 부모님이나 선생님, 게임중독상담센터 등에 상담을 하고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합니다
※ 나는 게임중독일까? 스스로 진단해 보세요.
1) 집착
게임이 자신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것처럼 느낍니다.
게임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느끼고 그것을 계속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게임을 하지 않을 때에도 항상 다음번에 그 게임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서 생각합니다.
2) 내성
만족감을 느끼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시간동안 게임을 합니다.
3) 금단
게임을 하지 않거나 갑자기 게임시간을 줄이면 불안감, 짜증, 초조, 불 쾌감 등을 느낍니다.
4) 갈등
게임 때문에 가족, 친구, 주위사람들과 갈등이 생기고, 학교생활, 가족생활 등의 현실생활에서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5) 부정
주변에서 게임을 많이 하는 것에 대해 지적을 받아도 게임으로 인한 어떤 문제도 없다고 거짓말을 하며 속이기 시작합니다.
6) 기분의 변화
게임을 하면 학교나 집에서 느꼈던 불쾌하고 힘들었던 기분이 좋게 변 화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따라서 학교생활이나 친구관계에서의 문제를 회피하거나 해결하기 위 한 도구로 게임에 더욱 빠져들게 됩니다.
7) 조절의 실패
게임을 너무 많이 하는 것에 대해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조절을 시도 해 보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점차 자포자기하게 됩니다.
8) 소모적 행동
게임을 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 돈을 사용하게 됩니다.
9) 만성피로
밤을 새는 등 장시간 게임을 하게 되면서 만성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잠이 부족해 졸음이 오고, 수업에 집중하기가 곤란합니다.
10) 취미생활의 상실
게임 외에 운동과 같은 취미생활이 없어집니다.
11) 언어와 맞춤법의 변화
게임 속에서 하는 채팅 언어 등에 맞게 현실 생활의 언어와 맞춤법이 달라집니다.
12) 불규칙한 생활
게임으로 생활이 불규칙해져 지각과 결석이 잦아집니다. 더 나아가 늦은 귀가, 외박, 가출 등의 문제행동을 하게 됩니다.
13) 충동성 증가
짜증과 충동적인 행동이 많아지고, 부모나 주변 어른에 대해 반항과 저 항이 늘어납니다.
14) 관계의 변화
가족과 학교에서의 인간관계는 소원해지거나 갈등이 많아지고 사이버 상에서 친구를 만들려고 합니다.
# 게임중독을 치료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치료방안
치료는 중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의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가족들과 대화를 하고 친구들과 운동을 하는 등 야외활동시간을 늘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무엇보다 꿈을 가지고 이루려고 노력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노력하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것들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자료실, 상담사례 참조>